본문 바로가기
신발

신발 신고 걷기 싫어하는 아기, 정상일까?

by ideukco73 2025. 8. 31.
반응형

 

“신발만 신으면 걷기를 멈추는 우리 아이, 이상한 건가요?”

걸음마를 시작한 아기에게 신발을 신겼더니 갑자기 멈춰 서서 앉아버리거나,

한 발자국도 움직이려 하지 않는 모습을 보면 부모는 당황하게 됩니다.

“신발이 불편한 걸까?”, “성격 문제일까?”, “보행에 문제가 있나?” 여러 가지 걱정이 앞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신발 신고 걷기 싫어하는 현상’은 정상적인 발달의 일부일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 신발
우리 아이 신발

걸음마 초기, 신발 거부는 흔한 일입니다

아기의 발은 아주 예민한 감각기관입니다. 맨발로 바닥을 느끼며 균형을 잡는 것에 익숙한 상태에서, 신발이라는 ‘이물질’이 갑자기 발에 덮히면 불편함을 느끼는 건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신발 신고 걷기를 거부하는 대표적 이유

  1. 🦶 감각적 이질감 – 신발의 촉감, 무게, 냄새, 조임 등
  2. ⚖️ 균형감각 저하 – 맨발 보행 대비 발바닥 정보 감소
  3. 👶 심리적 거부감 – 통제 당한다는 느낌
  4. 👟 신발 자체 문제 – 사이즈 불일치, 딱딱함, 미끄러움 등

‘걷기 싫어함’과 ‘걷지 못함’은 다릅니다

중요한 건 아이가 신발을 신지 않았을 때 잘 걷는지입니다.

  • ✅ 맨발 or 양말 상태에서는 잘 걷는다 → 심리적 거부감 or 착화감 문제
  • ❌ 맨발일 때도 걷지 않으려 한다 → 보행 발달 자체를 점검할 필요

신발 신고 걷기를 연습시키는 방법

1. ‘신발’에 대한 낯섦을 줄이기

  • 집 안에서 신발을 신고 놀이하게 하기
  • 인형에게 먼저 신발 신겨 보기 → 모방 심리 자극
  • 신발을 만지거나 손에 쥐게 하기 → 촉감에 익숙해지도록

2. 가볍고 유연한 신발부터 시작하기

  • 한쪽 무게 100g 이하, 앞코가 부드럽게 휘어지는 모델
  • 아기 발 형태에 맞는 넉넉한 발볼
  • 신고 걷는 연습용으로는 실내 전용 부드러운 신발도 추천

3. 신발 신고 걷기 = 즐거운 경험으로 연결

  • 신발 신고 걷자마자 아이가 좋아하는 장소로 이동 (공원, 놀이터 등)
  • 처음에는 단 3~5분만, 짧은 거리부터 걷기 유도
  • 걷지 않으면 억지로 걷게 하기보다 “신발 벗자”로 선택 유도

신발 거부가 ‘지속적’이라면 이런 점을 점검해 보세요

  • 👣 사이즈가 맞는가? – 너무 꽉 끼거나 헐렁한 경우 착용 거부
  • 👟 무게가 무거운가? – 발을 드는 데 부담이 된다면 걷기 꺼림
  • 🦶 신발 내 인솔 상태 – 이물질, 마감 불량 등
  • 💡 한 쪽 신발만 유독 싫어한다면 – 한쪽 발의 민감성, 통증 가능성 고려

부모가 조심해야 할 대응 방식

  • ❌ 억지로 끌고 걷게 하기 – 신발 = 불쾌한 경험으로 인식
  • ❌ “왜 이래, 다 걷는 건데” → 비교는 금물
  • ✅ “오늘은 발이 피곤했나봐. 신발은 이따 다시 신어보자” → 공감 + 여유

실제 후기 – “하루 3분, 1주일만에 걷기 시작했어요”

“신발 신자마자 주저앉던 우리 아이, 무조건 신기고 외출하던 방식을 바꾸고 집 안에서 신고 인형 데리고 걷기 놀이부터 시작했어요. 하루 3분씩만 했는데, 5일쯤 지나자 이젠 스스로 신발 찾고 밖에 나가자고 해요.” – 15개월 아기 부모 후기

추천 신발 모델 – 걷기 연습용

 

  • 👟 뉴발란스 키즈 313 – 유연성과 안정성 균형
  • 👟 아식스 퍼스트슈즈 – 발목 지지 + 착화감 최적
  • 👟 크록스 키즈 샌들형 – 여름철, 통기성과 경량

결론: 걷기를 거부하는 건 ‘신호’일 뿐입니다

아이가 신발을 신고 걷기를 거부한다고 해서 그 자체가 문제행동은 아닙니다.

그 속에는 불편함, 낯섦, 감각 과민, 또는 단순한 기분

이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

부모가 할 일은 그 ‘싫음’이 어떤 이유인지 찾아보고, 아이의 페이스에 맞춰 걷기 좋은 경험을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신발은 아이에게 세상을 마주하는 첫걸음의 수단입니다. 그 첫 발걸음이 기분 좋은 기억으로 남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반응형